단백질 너무 많이 먹어도 '독' - 박노훈 헬스조선 기자
인체 필수 성분이자, 근육을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단백질.
최근에는 탄수화물과 혼합됐거나 단백질로만 이루어진 보충제도 시중에 나와 있다.
그런데 단백질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골다공증에 걸리거나
신장, 간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이유에 대해 알아봤다.
보충제 먹다가 골다공증 생길라
단백질 보충제를 너무 많이 먹거나 닭가슴살, 달걀 등 고단백 위주의 식사를 하면,
칼슘 손실이 많아져 골다공증 위험이 증가한다.
단백질의 구성단위인 아미노산은 대사과정에서 소변을 통해 칼슘을 배출하는 데,
단백질 섭취가 많을수록 칼슘 손실이 많다.
따라서 근육을 키우고 싶은 사람은 단백질 충제를 너무 많이 먹어도 안되고,
칼슘 섭취를 따로 해주는 게 좋다.
하루 단백질 섭취량은 총열량의 최대 30%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암모니아 생겨 간·신장 무리
단백질 과다섭취가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이유는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아미노산(암모니아) 때문이다.
단백질이 질소와 탄소 화합물인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면,
아미노산 분자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질소가 암모니아로 전환된다.
그런데 암모니아는 독성이 있는 성분으로 체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체내에 독성이 쌓인다.
간 기능이 떨어졌을 때,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간을 더 망가뜨린다.
간세포를 만드는 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성분이 단백질이지만,
암모니아로 변한 단백질은 기능이 떨어진 간에 부담으로 다가온다.
간이 건강할 때는 다소 많은 양의 암모니아가 만들어져도 해독할 수 있지만,
간염 등의 질환이 있으면 암모니아를 처리하기 힘들다.
과다한 단백질 섭취는 또 신장에 무리를 줘 요독증이 생길 수 있다.
신장은 모세혈관 덩어리로, 물질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출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체내 여과 기관이다
.
암모니아는 간을 통해 독성이 조금 약한 요소로 전환된 후 신장을 거쳐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많이 섭취할수록 요소의 농도가 진해지지고,
이렇게 되면 신장 기능이 약해져 나중에는 배출 기능 자체도 망가질 수 있다.
'질병치료법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유 섭취 사망위험성이 커진다? 우유는 발암물질 골당골증 악화시켜 뼈약해져 ㅡ스웨덴 연구진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위험' .. (0) | 2023.07.21 |
---|---|
암 생존자, 건강한 식생활과 운동해야 한다 (0) | 2021.10.28 |
김용수박사의 암치료법 불면증이 유방암을 발생시킨다. (0) | 2021.10.26 |
이것이 부족하면 기형아 출산 확률이 높아진다. (0) | 2021.10.14 |
유기농 김을 아시나요? 우유보다 몇배나 더 많은 칼슘과 미네랄, 단백질, 영양덩어리 "유기농 김" (0) | 2021.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