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치료법/건강상식

이것이 부족하면 기형아 출산 확률이 높아진다.

자연산약초 2021. 10. 14. 13:30

내가 먹은 음식, 3대가 먹는다

 

 임신 중 엽산 섭취, 부족하면 기형아 낳는다. [SBS 스페셜]

SBS 2009.11.16.

 

중국 산시서의 한 보육원에서 부모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버려진 기형아들이 있다.

뇌가 없이 태어난 아이도 혹이 달린 채 태어난 아이도 있다. 

또 다른 고아원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손가락이 4개인 아이, 큰 종양을 달고 태어난 아이 등 기형아들이 많았다.

산시성에 사는 대부분의 임산부들은 기형아를 낳을까 봐 근심을 놓지 못한다.

산시성의 여성들에게는 유독 엽산이라는 영양 성분이 부족하다고 한다. 

산시성 사람들의 엽산 결핍 원인이 무엇일까?

바로 균형 잡히지 않은 식습관이 문제였다.

고지대라 채소가 거의 나지 않아 밀가루 음식 의존도가 높았다.

그나마 따듯한 시기에는 감자나 배추가 나지만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요리법상 음식을 과도하게 익혀

그나마 섭취 가능한 엽산의 섭취를 더욱 줄어들게 만든다.

음식이 넘쳐도 문제다.

무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살고 있는 피마인디언의 후손인 메리 할머니는 당뇨병 약을 달고 산다.

합병증으로 온몸이 성한 곳이 없다.

30년째 하루하루 인슐린에 의지하며 살아왔다.

이 고통은 할머니에게만 찾아온 게 아니었다.

온 가족에게 찾아온 재앙이었다.

조상들은 암과 당뇨 등으로 사망했다.

자연식에 적응됐던 유전자가 가공식품을 갑작스레 많이 접하다 보니 병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런 현실은 피마인디언 부족 전체에 퍼져나갔다.

그렇다면 음식이 바뀐다고 대대로 전해질 운명이 바뀔 수 있는 걸까?

역사의 사건이 답을 안겨줬다.

네덜란드의 식량 기근 사태 이후의 실험과 변화를 지켜보면 알 수 있다.

기근 당시 낳은 딸은 유방암에 걸렸고 손녀는 당뇨병에 증손녀는 중증 알레르기에 시달리고 있었다.

암스테르담 대학병원의 테사 로즈봄 교수는

"기근 때 태어난 아이뿐만아니라

그들이 낳은 아이들도 건강하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라고 말했다.

테사 로즈봄 교수는 이어

"할머니 혹은 어머니가 먹은 음식이 당신을 만든다.

생각을 바꿔야 한다. 후속의 병을 예방하는 일은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라고 전했다.

 

(SBS 인터넷 뉴스 뷰) 건강하지 않은 유전자를 바꾸고 운명을 거스를 수는 없는 걸까?

정답은 '있다'였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잭 맥 클론씨는 암을 발생시키는 유전자를 변형시켜 전립선 암을 이겨냈다.

그의 가문은 이름난 명문 가였지 마나 대대로 심장병이 많아 단명한 불운한 가문이기도 했다.

때문에 그는 동생과 '40세만 넘기자'며 건강을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하지만 그도 어두운 운명의 그림자를 피하지 못하였다.

전립선 암이 찾아온 것이다.

보통의 경우 수술을 택하지만 그는 자연식 식습관으로 전립선 암에 맞섰다.

햄버거와 고기를 끊고 채소 위주의 식습관으로 바꾼 그는 전립선 암을 이겨낼 수 있었다.

약 3개월 만에 암세포가 사라졌다.

이러한 성공에는 대통령의 건강까지 책임졌던 예방의학 전문의인 딘 오니시 박사의 힘이 컸다.

그는 암 환자들의 식단 변화가 가져오는 유전자 차원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점검했다.

그는 "식습관의 변화로 전립선암을 유발하는 500개 이상의

유전자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라고 말했다.

딘 오니시 박사의 도움을 얻었던 잭 맥 클론은 65세 나이로 40대에 사망했던 '가문의 운명'을 극복한 셈이다. 

 

 

 

 


(SBS 인터넷뉴스부) 


 *엽산은 산나물이나

 

야채 뿌리식물[산도라지 산더덕 잔대 백하수오 등]에 다량 들어 있습니다.

 

건강하고 똑똑한 아이를 낳기 위해서 미네랄과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는

 

산야초와 산야초 효소를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매년 8~10만 명의 신경관

 

(초기 줄기세포로서 신경세포를 생성하는 곳으로 뇌와 척수를 세포분열 복제함)

 

결손 기형아가 태어나는 중국 산시성 사람들은 고산지대라

 

채소가 귀해 잘 먹지를 못하고 다른 음식들도 과도하게 익혀 먹는 식습관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유전자를 복제할 때 가장 필요한 엽산 영양소를

 

제대로 섭취하지 못해 기형아 발생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중국 정부는 밀가루에 엽산을 첨가해 주민들에게 공급하는

 

새싹 공정을 실시한 결과 최근에는 기형아가 85%나 줄었다고 한다.

 

 

 

 



태아를 위한 두뇌영양제 엽산

 



엽산은 임신 초기(임신 계획 시부터),

 

수유 초기에 잘 섭취하시는 것이 좋고요.

 

그렇지 않더라도 평상시에 여성이나 성장기에는 많이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엽산은 약으로 먹는 것보다는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엽산(비타민 B9 : 폴릭 에시드)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 알려드립니다.

 

비타민 B9 (엽산 Folic Acid) -조혈작용 수용성 비타민 전부 다

 

100g 기준으로 들어있는 양(단위/mg)입니다.

 

 



김치류

 

- 갓김치가 최고입니다(370). 깍두기, 열무김치 등에는 별로 없고요,

 

배추김치에도 상당량 들어있습니다. 

 

(우리나라 식생활로 보면 매끼 먹으면 상당량이 흡수됨)

 

파김치에도 상당히 많습니다..

 

 

 


야채류


- 진한 푸른색 야채에 많습니다..

브로콜리(372), 시금치(146), 쑥(146), 토란대(163), 두릅(89) 상치...

 


야채류 드실 때 주의할 점은

 

엽산이 열에 워낙 약하고 수용성이라서 조리할 때 주의하셔야 합니다. 

 

가능하면 생으로 먹는 게 좋고, 아니면 살짝 데쳐서 

 

(풀내만 없앤다는 정도로 겉의 동그란 부분이 살아있고... 줄기는 거의 날것 상태)

 

초고추장에 찍어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곡류, 두류

 


- 배아 부분에 많이 들어있으니깐 도정이 덜된 것에 많습니다.


유기농 현미(142), 강낭콩(186), 콩(검정, 노랑)(127), 완두콩(64)

 

아몬드 후레이크나 콘푸레이크 (142), 땅콩강정(103), 들깨강정(95),

 

콩강정(136), 볶은 땅콩(145) 마늘바게트(95), 호밀빵(86) 찐 고구마(52),

 

군밤(106), 해바라기씨(237) 

 

 



어류

 


생선으로 만든 젓갈류에는 엽산이 많고요.


참치 통조림, 붕장어 뼈째 튀긴 것, 굴비에는 상당량 들어있습니다. (최소 50 이상)

 

 


해조류

 


- 대부분 많이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해조류를 100g씩

 

먹으려면 엄청난 양을 먹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구운 김(1444), 다시마(146), 미역(146) 출산 시뿐만

 

아니라 임신 때도 미역국을 먹어야겠다.

 

 




과일류

 


- 과일류에는 원래 비타민 C가 많다는 것 아시지요?

 

비타민 C는 엽산 흡수율을 높여준답니다. 

 

- 키위(38), 금귤(30) 또는 작은 노지 조생종 귤, 오렌지(30) 등에 많습니다.

 

 

파인애플(23), 딸기, 산딸기(17), 자몽(16), 수박, 참외 멜론(16) 아보카도(61.9)

 

-> 엽산의 왕이라는데... 근데 이건 과일로 먹기가 힘든 것이라... 

 

 

무화과(38) 말린 바나나(35)

 

엽산이 많이 들어간 음식물일지라도

 

농약과 화학비료 제초제를

 

다량 살포한 음식은 또 다른 기형아를 낳게 되는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똑똑하고 건강한 아이를 낳기 위해서라면

 

유기농 야채와 음식으로 생산되고 만들어진 것만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 아이뿐만 아니라 우리 후손들을 위해서

 

꼭 유기농 음식물을 섭취해야 할 것입니다.

 

내 아이도 결국 다은 사람과 결혼해야 하고

 

아이를 낳아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똑똑한 아기를 위하여... 

 

더욱이 엄마의 건강을 위하여 식품으로 엽산을 섭취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엽산은 수용성 비타민 B군의 특징으로 채소나

 

과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수용성 특징상 필요량 이상을 섭취해도 몸에 축적이 되지 않고 배설이 되니,

 

매일매일 꾸준히 적당량을 섭취해 줘야 합니다. 

 



갓김치가 보관성 있으니.

 

채소나 과일이 떨어졌다 싶으면....

 

젓갈로 담근 잎이 큰 갓김치에 찬 밥 한 덩이 올려서 먹는 것도

 

입맛이 떨어진 임산부를 위해서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