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산 약초/자연산 버섯 69

말뚝버섯 요리법 흰망태버섯 망태말뚝버섯최고의 자연 요리 망태 말뚝버섯 요리 말뚝버섯 구이 고무버섯 구이요리 별미 미식가의 최고의 맛

말뚝버섯 요리법 흰망태버섯 망태말뚝버섯최고의 자연 요리 망태 말뚝버섯 요리 말뚝버섯 구이 고무버섯 구이요리​​말뚝버섯 망태버섯 유균 ​계란처럼 생겼습니다​말뚝버섯이라고 하는 버섯입니다 휜 망태 버섯 유균이며 흰 망태 말뚝버섯이라고도 합니다 ​동그란 새알처럼 생겼는데 표면은 껍질로 덮여 있고 안에는 끈적한 젤라틴 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그 안에는 또 다른 알맹이가 있습니다​​​껍질을 벗겨내고 속안의 것만 맛있어서 요리를 해 먹으면 됩니다​말뚝버섯 망태버섯과 함께 고무버섯을 조금 채취해서 함께 요리를 하였습니다​팬에다가 송로버섯 기름을 두르고 약한 불로 구웠으며 고기 양념 소금을 뿌려서 간을 맞추었습니다​​휜 망태버섯 말뚝버섯은 소 간의 맛이 납니다. 간처럼 맛이 느껴지지만 깨끗하고 맑은 느낌에 간맛입니다​​..

범부채대구멍 버섯

형태 갓의 크기는 다양하다. 5센치에서 20센치까지 크기가 제각각이다. 갓표면은 미세한 털이 있고 고리무늬와 홈이 있다. 활엽수의 죽은 고사목 밑둥에서 자라나며 참나무에서 대부분 발생한다. 상당히 질긴 버섯으로 식용 버섯으로는 부적당하며 약리적 효과는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름이 많이 알려지지 않은 버섯이다. 범부채대구멍버섯에서 황갈색범부채버섯으로 개칭되었다고한다. 상황버섯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개다래 사진입니다.

싸리버섯 채취 시기입니다.[자연산 버섯]

싸리버섯 채취 시기가 다가 왔습니다[자연산 버섯] 작년에는 싸리버섯이 많이 발생 하였지요.. 올해도 비가 많이 와서 많이 자라날 듯 합니다.. 싸리버섯은 약간의 독성이 있으므로 소금물에 담가 독을 우려 낸 후에 요리를 해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위장이 워낙 건강 하신 분들은 그냥 드셔도 됩니다.. 설사를 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몸속의 독소를 제거해 주는 작용이므로 굳이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녹슬은그물버섯

형태: 갓은 지름 5-10센티로 초기에는 반구형이나 차차 평반구형이 된다. 갓표면은 점성이 있고 처음에는 암갈색이나 차차 녹회색 갈색반점이 나타난다. 조직은 백색이며 관공은 내린형이다. 포자문은 황갈색으로 차차 자색을 띤다. 생태: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림 낙엽송림 내 땅위에 난다, 늦가을 침엽수림에도 난다. 분포: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유럽 시베리아 등 식용여부: 식용버섯이다, 샤부샤부로 해먹으면 맛나다.. 성분: 유리아미노산 22종 약리작용 : 암억제율[실험동물-쥐- 일반암 억제율 100% 복수암 억제율 90%]

가을 식용버섯[느타리버섯 개암버섯 회색깔때기버섯 팽이버섯등]

늦가을 입니다. 요즘 산에 가면 늦가을에 나오는 버섯들이 한창 입니다. 늦은 가을에 나오는 버섯들은 독버섯이 거의 없으며 영양과 맛이 좋아 맛있게 요리를 해 먹을 수가 있습니다. 쉽게 찾을 수 있는 가을 식용버섯을 알아봅시다. 이쁜 뱀.. 황소비단그물버섯*살구향이 나는 식용버섯이지만, 많이 섭취하면 설사를 할 수 있다...늦가을에 난다 개암버섯-버섯이 질감이 단단해 씹는 맛이 좋은 버섯이다. 횐턱수염버섯*능이버섯이 끝날무렵 나기 시작한다. 식용버섯이며 능이버섯과 사촌지간이기는 하지만 맛은 별로없다. 비늘버섯 -맛은 보통이다.- 자연산 느타리버섯 재배느타리보다는 향이 짙기는 하지만 버섯자체의 강한 자연의 맛은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늦가을 부터 겨울에 걸쳐 난다. 자연산 팽이버섯 아주 쫄낏쫄깃하며 매끄러운..

흰굴뚝버섯[굽더더기버섯]-식용버섯-

형태: 갓은 지름 6-15센티로 평반구형이다...갓 표면은 회색 회흑색 등이며 짧은 털로 덮여 있다..가죽과 같은 촉감이 느껴진다. 표면에는 혹과 같은 작은 돌기가 있다. 생태: 가을에 침엽수림 내 땅위에 난다 분포: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식용여부: 식용버섯이다 쓴 맛이 있지만 사람에 따라 맛있게 느껴지기도 한다..약리적 작용은 강한 편이다. 성분 : 유리아미노산 27종 약리작용: 항염작용 적응증 : 천식염증치료 알레르기 등..

흰우단버섯[송이버섯처럼 맛있는 버섯]

*흰우단버섯과 유사한 맹독버섯들이 많이 있으므로 일반인들은 함부로 흰버섯을 채취해서 드시면 안됩니다. 버섯은 전문가들도 분간을 잘 할 수 없는 변형된 유사한 버섯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비슷한 버섯중에 흰알광대버섯이나 알광대버섯은 한개만 먹어도 즉사할 정도로 독성이 강한 것이 있습니다. 형태: 갓은 지름 10-40센티 정도로 초기에는 편평형이나 나중에는 깔때기처럼 변한다 갓표면은 백색이며 미세한 인편이 있고 견사상 광택이 있으며 갓끝은 밀린형이다 조직은 백색이고 밀가루냄새가 조금난다 주름살은 내린형이며 빽빽한 조직을 유지하고 있다. 생태: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공원 산림속 대무나 숲 특히 삼나무 아래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한국 일본 중ㄹ국등 북반구일대 성분 : 유리아미노산 31종 항결핵성분..

밀버섯

형태: 갓은 지름 2-5센치로 초기에는 평반구형이나 차차 편평형이 된다. 갓표면은 평활하고 적갈색이며, 중앙부는 짙고 차차 담갈색화 된다. 주름살은 빽빽하며 갓과 같은 색이다. 성장 하면서 속은 비고 대의 표면은 담항갈색이다...표면은 평활하고 포자문은 백색 담황색이다. 여름에 많이 난다 생태: 여름부터 가을까지 나도 밤나무가 많은 활엽수림 침엽수림 내 땅위나 낙엽층위에 군생 또는 속생한다 분포: 한국 일본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반구 일대 식용여부: 식용버섯이다. 성분: 다당류 항종양 성분 약리작용: 항종양[암억제율 실험동물 -쥐- 일반암억제율 45--75%] 암에걸린 동물의 수명연장 효과 면역작용

간버섯

형태: 갓은 지름 3-10센티 반원형 부채형이다. 갓표면은 평활하고 희미한 환문이 있으며 선명한 선홍색이고 조직은 크로크질이다..대는 없고 기주에 부착되어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다. 생태: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 침엽수의 고목 그루터기에서 자라난다 표고재배목에 대량 발생하기도 한다. 분포: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유럽 등 전세계적... 성분: 지방산 8종 항균성분 약리작용 : 항종양[ 실험동물-쥐- 암억제율 90% 적응증 : 만성기관지염 관절염 외상출혈 화상 염증등에 가루로 갈아서 환부에 바른다. 참고 : 식품가공과 사료첨가물로 이용하기 위해 검토중에 있다.

벌집버섯

형태: 갓의 크기는 6센티 반원형 콩팥형이며 효면은 황갈색 흰색 가죽질이다. 긴 벌빕모양이고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대는 짧고 때로는 흔적만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다. 생태: 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죽은 가지 또는 살아 있는 뽕나무 위에 군생하는 백색 부후성 버섯이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등 전세계적...... 식용여부 : 식용하지 않는다... 약리작용: 항종양[암억제율 실험동물 -쥐- 일반암억제율 72% - 92% 복수암 억제율 60%

잣버섯

형태: 갓은 지름 6-15센티 초기에는 평반구형이나 차차 편평형이 된다.. 갓표면은 백색 담황갈색이며 때로는 백색의 조직이 보인다. 기부는 비늘모양의 인피로 덮혀 있으며 상부에는 솜모양의 인피가 있어 주름살이 이어져 있다.. 생태: 이른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침엽수 특히 소나무 그루터기 고목 생목위에 단생 또는 속생하는 재부후성 버섯이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등 전세계적... 식용여부: 감초 향기와 아니스 향기가 있는 식용 버섯이다... 과식하면 가벼운 중독을일으키기도 한다. 효능: 신체기능조절 건강증진 성분: 유리아미노산 포화지방산 6종 불포화 지방산 4종 약리작용: 암억제율 *항종양* 실험동물-쥐- 60% 복수암억제율 70%

등갈색미로버섯

형태: 갓은 부채형 또는 반원형 편평형이며 표면은 황갈색 백색이며 갓 끝은 예리하다 조직은 담황색이며 2층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상층은 섬유상 해면질이고 하층은 가죽질이다. 포자는 구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포자문은 백색이다. 생태: 여룸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그루터기 쓰러진 나무 죽어가는 나무위에 발생하는 1년 또는 다년생 목재 갈색부후성 버섯이다. 분포: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성분 : 미량금속 원소 11종 및 게르마늄 약리작용 : 항종양[암저지 억제율 55%- 80% 정도 실험동물 -쥐- ] 무 배추 발아 억제 - 항산화 작용이 있다-

해면버섯

해면버섯 해면버섯: 갓은 지름 10~20센티 정도이며 , 처음에는 원형을 나타내다가 차츰 반원형이 된다. 표면은 적색계통을 보이다가 차츰 적갈색 흑적색이 된다. 생태: 여름부터 가을까지 침엽수에 생목 혹은 그루터기등에 난다. 목재부후성 버섯으로 삼림에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분포:한국, 일본, 중국등 동북아시아 및 전세계적이다 약리작용:항종양효과 [실험동물 쥐 일반암 암억제율 80% 복수암 억제율 80%]

뿔나팔버섯-검은나팔버섯 자연산버섯 공부-식용버섯

뿔나팔버섯-검은나팔버섯 자연산버섯 공부- 검은색을 나타내고 있어서 검은나팔버섯이라고 하는 것이 더 어울리는 이름인 것 같다... 혼합림 부엽토에서 자라며 물결모양을 하고 있다.... 요리를 해도 먹버섯처럼 검은색이 우러 나오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나팔모양 깔때기 모양을 하고 있어서 나팔버섯이라고 부른다... 식용버섯이며 찌게나 볶음으로 요리한다.... 검은색을 나타내고 있어서 여간해서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송로버섯' 추정 버섯류 임실서 발견.."성분분석 중"

'송로버섯' 추정 버섯류 임실서 발견.."성분분석 중" 입력 2018.10.16. 17:29 전북 임실군 한 참나무군락지에서 '송로버섯'으로 추정되는 버섯류가 발견됐다. 성분분석을 거쳐 송로버섯으로 최종 확인되면 국내 최초 발견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농민 심응만(55)씨는 지난 14일 오전 11시 30분께 임실군 삼계면 참나무군락지를 찾았다가 송로버섯으로 추정되는 버섯 3개를 발견했다. 심씨는 "한국농수산대학 전문가들은 외관상 송로버섯일 확률이 90% 이상이라고 했다"며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DNA 분석을 의뢰했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송로버섯으로 최종 확인되면 '국내 최초' 발견 사례 농민이 발견한 '송로버섯' 추정 버섯 (임실=연합뉴스) 지난 14일 전북 임실군 삼계면 참나무 군락..

회흑색광대버섯-독버섯-맹독버섯 사망버섯-

회흑색광대버섯-독버섯-맹독버섯 사망버섯- 독버섯이다... 잠복기간이 길어서 독성분이 늦게 나타난다... 코레라 증상과 비슷한 구토 설사 복통이 일어나고....몇일 후 간비대 황달 위장출혈등의 내장세포 파괴가 일어 나면서 사망에 이르게 만드는 맹독버섯이다..................... 따라서 이와 비슷한 버섯은 절대 함부로 섭취해서는 안된다.. 여름에 혼합림에서 많이 발생한다.... 우산살처럼 나선형의 줄무니가 있다..... 색상은 흑색을 띈다..... 4-8센치 정도의 크기가 크지 않은 버섯이다.... var flashVersion = parent.swfobject.getFlashPlayerVersion(); if(typeof flashVersion != "undefined" && typeof f..

노란귀느타리버섯[노란털느타리]*송이과*

노란귀느타리버섯[노란털느타리]*송이과* 형태: 갓은 반부채형이고 표면은 황색의 밸벳상이다...다른 버섯에 비해 질긴편이다... 자루는 없으며 밀착형이다... 발생시기: 늦가을 겨울 쓰러진 나무 죽은 고사목에 붙어 난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등 북반구일대... 식용여부: 독성은 없으나..버섯이 질기고 불쾌한 냄새가 난다... 식용으로는 부적당하다........

말징버섯 -어린버섯은 식용한다-자연산버섯-

말징버섯 -어린버섯은 식용한다-자연산버섯- 형태: 구형이며 높이 9센치정도로 자란다... 노균이 되면 악취를 풍긴다.... 생태: 여름부터 가을까지 부엽토나 따위에 군생한다.... 분포: 일본 한국 중국 유럽등 전세계적.. 어린 버섯은 식용한다... 약리적 효과 : 항암작용 암억제율 41%-74% 정도 항균작용이 있는 버섯이다.. 외상출혈 폐렴 인후종통등에 효과가 있다..

자주빛무당버섯 -식용버섯-자연산버섯-

자주빛무당버섯 -식용버섯- 특별한 맛은 없는 버섯이다. 민간에서는 일명 밤버섯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이 버섯만의 톡특한 향기가 있어서 그 버섯향을 맛본 사람들은 이 버섯의 향과 맛이 그리워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둥근 산모양에서 차츰 편평형이 되는 버섯이다. 소금에 절궈 겨울에 먹기도 한다.. 여름과 가을 산에 가면 흔하게 볼 수 있는 버섯이다.... 한국 일본 유럽등에 분포한다... 무당버섯은 모양이나 색이 비슷한 것이 많으므로 함부로 채취해서 복용하면 안된다... 자연산 버섯을 확실하게 알지 못하면서도 꼭 섭취할 경우에는 꼭 소금물에 독성을 우려 낸후 다시 끓는 물에 데쳐서 독을 우려 낸후 섭취해야 한다. 하지만 독버섯 한개만 먹어도 즉사 할 수 있는 독버섯이 많으므로 절대 모르는 버섯은 섭..

검은쓴맛그물버섯

검은쓴맛그물버섯 그물버섯 중에는 검정색을 나타내는 버섯이 몇 가지 있는데 검은쓴맛그물버섯이 색상이 전체적으로 가장 검은 편이다 식용은 하지 않는 버섯이며 초여름 무리지어 발생한다 전체적으로 까만색을 나타낸다 간혹 식용버섯인 흰굴뚝버섯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물버섯은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버섯 #검은쓴맛그물버섯 자연산 약초 구입문의 건강상담 공일공 삼삼육사 삼팔삼육 전화 또는 문자를 주시기 바랍니다.

먹물버섯* 식용버섯*

먹물버섯* 식용버섯* 베타글루칸, 유리아미노산효능소화를 도우며 치질 치료에 효과, 항암 효과,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떨어뜨리는 작용도 한다. 보관법살짝 데쳐서 냉장 보관 진균문의 주름버섯목에 속하는 먹물버섯속 버섯을 일컫는 말. 전세계적으로 약 100종이 나무나 거름 위에서 자란다. 포자가 갓에서 터지면 갓이 잉크 같은 액체로 되면서 없어지기 때문에 'inky cap'이라는 영어 이름이 붙었다. 식용하며 여러 질환에 약효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효능으로는 소화작용의 촉진 등이 있다. 까맣게 되기 전에 어릴 때 식용을 합니다. 먹물버섯은 비슷하게 생긴 독버섯이 없어서 비교적 안전하게 채취할 수 있는 식용버섯입니다. 유럽가 북미 등에서도 쉽게 볼 수 있기에 누구나 좋아하는 버섯으로 갓이 피어나기 전 유균을..

노랑무당버섯*

노랑무당버섯* 분포지역 : 전국 발생시기 : 여름~가을군락형태단생,군생 균모의 지름은 3-8.5cm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깔때기 모양으로 된다. 자실체는 전체가 아름다운 선황색이다. 표면은 끈적기가 없고 비로드 모양 또는 가루 같은 것이 있으며 표피는 벗겨지지 않는다. 주름살은 백색에서 탁한 색으로 된다. 자루의 길이는 6-9cm이고 굵기는 8-22mm로 내부는 갯솜 모양이다. 맛은 맵지 않으나 불쾌한 냄새가 난다 #노랑무당버섯 자연산 약초 구입문의 건강상담 공일공 삼삼육사 삼팔삼육 전화 또는 문자를 주시기 바랍니다.

황갈색털대구멍버섯*

황갈색털대구멍버섯* 약용버섯 ● 종 류 :담자균문,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해면버섯속. ● 분 포 :한국, 북반구 온대 이북의 침엽수림대. ● 발 생 :늦봄(5월말)~가을에 죽은 침엽수(특히 낙엽송)의 그루터기 또는 살아있는 나무의 상처부위나 뿌리에서 발생한다. ● 형 태 :갓은 크기 20~30㎝정도로 하나의 기부에서 여러개의 갓이 겹쳐서 발생하고 다발모양을 이룬다. 한개의 갓은 크기 7~15㎝정도로 반원모양 또는 부채모양이다. 갓 표면은 벨벳같은 질감으로 몇개 안되는 테무늬가 있고 어릴 때 황갈색에서 점차 적갈색을 거쳐 암갈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성장할 때 오렌지색을 띤다. 살은 신선할 때는 물기를 많이 머금고 유연하며, 약간 질긴 코르크같은 질감으로 단면은 갈색이다가 오래되거나 마르면 부서지..

능이버섯 송이버섯 외대덧버섯 그물버섯 버들 산행

능이버섯 송이버섯 외대덧버섯 그물버섯 버들 산행 https://story.kakao.com/ch/wuri5858 2020년 올해는 능이버섯이 아주 늦게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지금도 능이버섯이 별로 크지 않습니다 예전 같으면 지금쯤이면 능이버섯이 다 들어갈 때인데도 불구하고 이제 막 자라나는 능이버섯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버들 송이버섯 외대덧버섯 그물버섯 여러가지 버섯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블로그가 없어진다고 합니다.. 아래 주소로 들어오시기 바랍니다.. https://story.kakao.com/ch/wuri5858 '골동품나라ㅡ민속품 엔틱 고미술품 빈티지ㅡ' 밴드로 초대합니다. https://band.us/n/aca978A3P6hfq 밴드명을 검색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From 김형희 010 3364 ..

시루뻔 버섯

시루뻔 버섯 생태 년 중으로 발생한다. 둥근산 모양 반원형이고 10센티 이상 자란다. 형태 수분이 있을 때는 밤색을 나타내지만 건조해지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예전에는 센털 밤색 갓버섯이라고 불렸다. 부드러운 털로 되어있고 탄력이 있다. 식용 여부 식용 불명이다. 항암버섯으로 알려진 차가버섯이 바로 이 시루뻔 버섯 속의 버섯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