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고치는방법/대체요법

대체요법의 현황과 문제점..

자연산약초 2014. 2. 28. 09:53

대체요법의 현황과 문제점..

 

보완대체요법 현황과 과제

[2008-10-28 오후 4:16:39]



◇미국, 체계적 교육과 연구 활발
◇한국, 법·제도적 뒷받침 시급


세계 의료계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으나 암·근골격계질환, 신경성질환, 스트레스, 우울 등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증가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제도권 의료에서 해결해줄 수 없는 질병치료와 건강유지 및 안녕의 극대화를 위해 `보완대체요법(complementary & alternative therapy)'을 사용하고 있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이유는 징후와 증상에만 관심을 갖지 않고 인간의 총체적인 균형과 조화를 중요시해 환자 본래의 면역성을 발휘하게 하는 접근법이며, 화학적 의약품보다는 자연적이거나 자연산물에서 만들어낸 것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1992년 국립보건원(nih) 산하에 대체의학연구소(office of alternative medicine)를 설립했고, 1998년 보완대체치료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nccam)로 확대했다. 예산은 1993년 200만 달러에서 1999년 5000만 달러로 25배 증가했다. 미국 전역에 위치한 10개 특수연구센터에 대체의학연구분야를 두고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제도권 의료 한계 극복

 저명한 의학전문지인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는 1993년 “대체의학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의학 본류에 합류했다”고 주장하는 논문이 실렸다. 하버드 의대, 존스 홉킨스 의대, 콜롬비아 의대 등 미국 40여 의과대학이 대체의학을 정식과정으로 개설하고 있으며, 유수 의료기관들도 대체의학치료를 병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체치료는 서양의학 중심의 제도권 의학에 비해 인간 중심적이고, 비용이 낮으며, 대상자의 문화적인 가치와 신념체계에 맞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assileth에 의하면 대체치료(alternative)는 임상의학적 치료 대신 입증되지 않은 치료를 하는 것이다. 보완치료(complementary)는 비침습적이고, 부드럽고, 즐겁고, 자연적이며,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건강증진과 편안함 그리고 촉진을 꾀하고 임상의학과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로 대부분 횡문화적 역사적인 경험에 의거한 치료법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정의했다.
 

 

외국에서는 보완대체요법이 alternative therapy, complementary therapy, mind health, natural care, alternative medicine, holistic nursing, alternative modalities, unconventional 등으로 통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주류의 건강관리에서 벗어나 의약, 기도, 마사지, 부적과 민간치료까지 포함하며 보완치료라는 용어와 교대로 전통적인 치료를 지원하거나 보충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완대체요법 용어보다는 오랜 시일동안 체험에 의해서 얻어진 지식인 `민간요법'과 자연에 순응해 자연과 동화하며 살아가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자연요법' 등으로 알려져 있다.

7개 분야로 유형 분류

 보완대체요법의 유형을 미국 국립보건원(nih)내의 대체의학연구소에서는 다음과 같이 7개 분야로 분류했다.
 1. 신체와 정신 간의 상호 긴밀한 연관성이 있고 각각은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는 믿음에 기초한 심신중재(mind-body intervention)
 2. 고대의학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 의료행위의 대체체계(alternative system of medical practice)
 3. 신체의 구조와 기능의 향상을 위해 접촉을 하거나 손으로 움직여서 신체를 다루는 기술을 포함하는 수(手)치유방법(manual healing method)
 4. 약초의학치료(herbal medicine)
 5. 신체의 생전자기장 영역의 변화는 신체조직에 독특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론에 기초한 생전기자기장치료(bioelectromagnetic therapies)
 6. 현대의 약물과 같은 영향을 미치는 적극적인 화학적, 자연적 요소들을 포함한 약품 및 생리적 처치(pharmacological & biological treatments)
 7. 음식이 약이라는 히포크라테스의 신념에 기초한 식이와 영양치료(diet and nutrition therapy)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인들에게 주로 많이 이용되는 보완대체요법을 중심으로 분류하면 선·명상요법, 경락·지압법, 뜸요법, 목욕요법, 단전호흡법, 기요법, 식이약초요법, 향기요법 등의 유형이 있다.

비침습적·자연적 접근법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정책적, 제도적인 문제로 외국에 비해 아직까지 기존의 제도권 의학에 대해 보완대체요법을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없는 상태이다. 일부 보완대체요법이 개인 의원이나 한방병원, 가정방문을 통해 수행되고 있으나, 정부 차원에서의 관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올바른 정보를 얻고 체계적인 관리를 받기 어려운 상태이다. 앞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정책과 제도가 뒷받침되기 위해서는 면허제도 또는 자격증제도와 같은 감독제도가 도입돼야 할 것이다.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간호사는 이러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을 숙고하고, 대상자들이 가장 치료 효과가 있고 의미 있는 치료법을 결정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할 것이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호중재에 포함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간호학계에서는 이미 보완대체요법 연구를 통해 간호실무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교과과정에서 보완대체요법 관련 과목을 개설하는 간호대학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는 우리 간호계가 국내외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실제적인 환자간호에 있어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한국적 간호중재 개발을 모색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이금재(한국보완대체요법간호사회장 경원대 간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