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요법의 현황과 문제점..
보완대체요법 현황과 과제 |
[2008-10-28 오후 4:16:39] |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이유는 징후와 증상에만 관심을 갖지 않고 인간의 총체적인 균형과 조화를 중요시해 환자 본래의 면역성을 발휘하게 하는 접근법이며, 화학적 의약품보다는 자연적이거나 자연산물에서 만들어낸 것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1992년 국립보건원(nih) 산하에 대체의학연구소(office of alternative medicine)를 설립했고, 1998년 보완대체치료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nccam)로 확대했다. 예산은 1993년 200만 달러에서 1999년 5000만 달러로 25배 증가했다. 미국 전역에 위치한 10개 특수연구센터에 대체의학연구분야를 두고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cassileth에 의하면 대체치료(alternative)는 임상의학적 치료 대신 입증되지 않은 치료를 하는 것이다. 보완치료(complementary)는 비침습적이고, 부드럽고, 즐겁고, 자연적이며,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건강증진과 편안함 그리고 촉진을 꾀하고 임상의학과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로 대부분 횡문화적 역사적인 경험에 의거한 치료법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정의했다.
외국에서는 보완대체요법이 alternative therapy, complementary therapy, mind health, natural care, alternative medicine, holistic nursing, alternative modalities, unconventional 등으로 통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주류의 건강관리에서 벗어나 의약, 기도, 마사지, 부적과 민간치료까지 포함하며 보완치료라는 용어와 교대로 전통적인 치료를 지원하거나 보충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완대체요법 용어보다는 오랜 시일동안 체험에 의해서 얻어진 지식인 `민간요법'과 자연에 순응해 자연과 동화하며 살아가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자연요법' 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정책적, 제도적인 문제로 외국에 비해 아직까지 기존의 제도권 의학에 대해 보완대체요법을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없는 상태이다. 일부 보완대체요법이 개인 의원이나 한방병원, 가정방문을 통해 수행되고 있으나, 정부 차원에서의 관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올바른 정보를 얻고 체계적인 관리를 받기 어려운 상태이다. 앞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정책과 제도가 뒷받침되기 위해서는 면허제도 또는 자격증제도와 같은 감독제도가 도입돼야 할 것이다.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간호사는 이러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을 숙고하고, 대상자들이 가장 치료 효과가 있고 의미 있는 치료법을 결정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할 것이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호중재에 포함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간호학계에서는 이미 보완대체요법 연구를 통해 간호실무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교과과정에서 보완대체요법 관련 과목을 개설하는 간호대학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는 우리 간호계가 국내외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실제적인 환자간호에 있어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한국적 간호중재 개발을 모색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
'암고치는방법 > 대체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의 암치료전문가 로타르히르나이제와의 대화- (0) | 2014.02.28 |
---|---|
대체의학은 검증받은 의학이다.[현대의학은 검증되지 못한 의학] (0) | 2014.02.28 |
대체의학의 필요성 (폐암/간암/자궁암/직장암 4기 말 환자 보호자입니다) (0) | 2013.03.16 |
암고치는방법[자연요법 식이요법으로 암을 고친다]브리스톨병원 (0) | 2013.03.15 |
세계 각국의 감기 민간요법 (0) | 2013.03.09 |